[세종=뉴스핌] 김범주 기자 = 이재명 정부 대통령실 참모들의 재산 내역이 공개됐다. 새정부 출범과 함께 지난 6월 임명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42억여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우상호 정무수석비서관은 17억여원을, 하준경 경제성장수석비서관은 33억여원을 각각 신고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6일 김 실장을 포함한 전·현직 정부 공직자 145명에 대한 재산 변동 내역을 관보에 게재했다. 이번 재산 공개 대상은 지난 6월 2일부터 7월 2일까지 신분 변동이 있었던 고위공직자 및 퇴직자다.
![]() |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31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미국과의 관세협상 타결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뉴스핌TV] |
김 실장은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된 경기 남양주시 금곡동 소재 임야 등으로 총 2억7156만원을 신고했다. 건물로는 김 실장과 배우자가 공동 명의로 서울 서초구 서초동 서초래미안 아파트와 장녀의 아파트 전세권으로 총 18억6785만원을 신고했다.
예금은 김 실장 본인이 10억4956만원을, 김 실장 배우자 명의로 4억6343만원을, 장남 명의로 3억7340만원을, 장녀 명의로 9910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김 실장의 장남은 애플, 테슬라 등 미국 나스닥 등 상장주식으로 965만원을, 솔라나, 이더리움 등 가상자산으로 1422만원을 신고했다.
우 정무수석은 재산으로 총 17억2267만원을 신고했다. 우 정무수석 본인 명의로 된 경기 포천시 일동면 소재 단독주택으로 1억300만원을, 토지로는 총 3579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배우자 명의로는 서울 중구 서대문구 연희동 아파트 전세권으로 5억7500만원, 서울 중구 신당동 상가로는 3억3000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예금으로 총 6억3632만원을 신고했다. 우 정무수석 본인이 4163만원을, 배우자가 4억5828만원을, 장남은 6978만원을, 차남은 6499만원을, 장녀는 162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하준경 경제성장수석비서관은 총 33억746만원을 재산으로 신고했다. 하 수석 본인 명의로 된 경기 성남구 분당구 아파트 전세권으로 6억4000만원을, 부친 명의로 된 서울 마포구 마포동 소재 아파트로 7억6800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예금은 하 수석 본인을 포함해 총 18억6184만원을, 주식은 국내유가증권시장 상장 주식으로 1982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김상호 보도지원비서관(춘추관장)은 현직자 중에서 가장 많은 60억7837만원을 재산으로 신고했다. 김 관장은 이재명 대통령이 더불어민주당 대표 시절 공보특보단장을 지낸 측근이다. 이른바 '경기·성남 라인'의 한 축으로 오랜 기간 이 대통령의 메시지와 언론 전략을 맡아 왔다.
김 관장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된 서울 강남구 대치동 다세대주택 등 건물로 75억원을, 예금으로는 총 3억8649만원을, 증권으로는 총 8947만원을, 채무로는 총 22억9615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가상자산으로는 김 관장의 배우자, 자녀 명의로 총 1억6376만원을 신고했다.
이 대통령의 핵심 참모진인 김현지 총무비서관은 총 11억8373만원을 신고했다. 김 비서관 재산의 대부분은 부동산이다. 김 비서관 본인과 배우자가 공동으로 된 경기 성남구 분당구 대장동 아파트로 7억5000만원, 배우자 명의로 된 분당구 야탑동 사무실로 3억1550만원 등 총 19억3350만원을 신고했다. 예금은 총 1억6686만원, 부채는 건물임대채무, 금융채무 등 총 9억8938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김 비서관은 이 대통령이 성남시장이던 때 시민운동을 하면서 인연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대학 졸업 직후인 1998년 당시 변호사이던 이 대통령이 설립을 주도한 성남시민모임에 합류했다.
한편 퇴직자 중에서는 김동조 전 국정기획비서관이 가장 많은 239억4888만원을 신고했다. 이어 장호진 전 외교안보특별보좌관이 158억1930만원을,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이 149억8567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