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송기욱 기자 = 증권업계가 부동산 중심 자금 흐름에서 벗어나 기업금융 중심의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자본시장을 통한 모험자본 공급 확대와 산업 재편 지원을 위해 증권업이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잡아야 한다는 의견이 업계와 학계에서 제기됐다.
금융투자협회와 자본시장연구원은 15일 '생산적 금융 확대를 위한 증권업계 역할 및 성장전략' 세미나를 공동 주최하고 IMA·발행어음·BDC 제도 등 모험자본 공급 인프라를 중심으로 증권업의 역할 강화 필요성을 논의했다.
![]() |
(왼쪽부터) 조대형 국립순천대 경제학 교수, 손종민 한화투자증권 기획관리실장, 송경재 유진투자증권 전략기획실장, 이준서 동국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서정학 IBK투자증권 사장, 서유석 금융투자협회 회장, 윤병운 NH투자증권 사장, 박용린 자본시장연구원 부원장, 최수정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본부장, 이충훈 삼성증권 IB부문장, 김동식 하나증권 경영전략본부장. [사진 = 금융투자협회] |
서유석 금융투자협회 회장은 개회사에서 "이제는 우리 업계가 행동해야 할 때"라며 "내년부터 IMA와 발행어음, BDC를 활용한 혁신·첨단 기업 투자가 본격 확대되면 자본시장 도약과 코스피 5000 시대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생산적 금융은 높은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는 대규모 투자가 핵심이라는 점에서 증권업계의 역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박용린 자본시장연구원 부원장은 첫 번째 주제 발표에서 "은행 중심의 간접금융 구조로는 혁신기업 자금 조달에 한계가 있다"며 "증권업이 리서치·인수·중개 역량을 바탕으로 모험자본을 증권화하고 분산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발행어음·IMA 인가 및 지정 확대, BDC를 통한 국민 참여 기반 마련 등 증권업의 모험자본 공급 기능을 제도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윤병운 NH투자증권 사장은 "금융투자업의 본질은 기업을 성장시키는 자금중개에 있다"며 "혁신기업의 스케일업을 지원하고 전통산업에는 M&A·구조조정 금융을 결합한 생산적 금융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발행어음·IMA 기반 자금은 올해 44조원에서 2030년 160조원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이며, 부동산이 아닌 기업 중심의 자금 순환이 금융투자업의 경쟁력을 결정짓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정학 IBK투자증권 사장은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모험자본 공급은 종합금융투자사업자만으로 한계가 있다"며 "중소형 증권사의 참여를 확대하고, 모험자본 투자에 대한 NCR 완화와 전용펀드 확대 등 실효적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세완 자본시장연구원장은 영상 인사에서 "증권사는 벤처·혁신기업의 펀딩을 증권화하고 분산해 시장 참여자와 연결하는 핵심적인 모험자본 중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며 "종투사의 모험자본 투자가 빠르게 늘고 있지만 확대 여지는 여전히 크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정부의 '생산적 금융 대전환' 기조에 맞춰 발행어음·IMA의 모험자본 공급 의무비율(25%), 부동산 운용한도 축소(2027년까지 10%), BDC 제도 도입 등을 통한 자본시장 기반 확충 필요성이 함께 논의됐다.
onewa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