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등록 : 2015-09-30 20:27
[뉴스핌=이보람 기자] 주진형 한화투자증권 사장의 '서비스선택제' 강행에 지점장을 비롯한 임·직원들이 다시 한 번 집단 반발했다. 앞서 주 사장이 오는 10월 수수료 체계를 두 가지로 개편하는 서비스선택제 시행을 밝힌 데 대해 30여 명의 지점장들이 연판장을 돌리며 반대했지만 주 사장이 이를 강행키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 |
주진형 한화투자증권 대표이사가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공정거래위원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질의를 듣고 있다. <김학선 사진기자> |
앞서 주 사장은 지난 8월께 자신의 페이스북과 회사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10월 5일 서비스선택제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 제도는 자사 고객의 주식 위탁계좌를 온라인 전용 계좌인 '다이렉트 계좌'와 전담 프라이빗뱅커(PB)에게 상담서비스를 제공받는 '컨설팅 계좌' 두 가지로 분류, 수수료를 각각 다르게 부과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주 사장의 소통 방식에도 불만이 제기됐다. 본사 팀장 32명도 이날 리테일 본부 직원들과 같은 주장을 담은 성명서를 발표했다.
본사 팀장 32명은 "주 사장은 소통을 중시한다면서 직원 메일 계정을 막는 등 대다수 리테일 관련 직원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있다"며 "더이상 한화투자증권 직원과 고객을 대상으로 리테일의 붕괴를 가져올 무책임한 실험을 하지 말 것을 요청한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특히 이들은 "주 사장이 '이 제도를 시행하지 않을 경우 100여 명의 직원을 짤라야 한다'고 말한 것은 임직원의 생명을 담보로 협박하고 있는 것"이라며 비판했다.
주 사장도 페이스북과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서비스선택제 시행 취지를 밝히는 등 적극 대응에 나섰다. 대표이사 취임이후 한번도 없었던 언론과의 인터뷰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증권회사가 고객의 투자이익보다는 자사 수수료를 위해 거래 횟수나 규모를 과도하게 거래하는 과당 매매를 막아 고객의 수익률을 보장하겠다는 게 그가 밝힌 시행 취지다. 이는 주 사장이 지난 2013년 대표이사로 취임한 이후 줄곧 주장해 온 '단타매매를 지양하겠다'는 경영전략과도 일맥상통한다.
한편 주 사장은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반대 리포트 발간, 한화S&C와의 내부거래 해소 시도 등으로 한화그룹과 마찰을 빚어 왔다. 그룹측에서는 내년 3월 임기가 끝나는 주 사장 후임으로 지난 22일 여승주 한화그룹 경영기획실 전략팀장(부사장)을 내정했다.
[뉴스핌 Newspim] 이보람 기자 (brlee19@newspim.com)